국내외 신용평가사들의 대화 전략이 바뀌어가고 있다. 기존 획일적이고 진보적인 소통 방식에서 벗어나 적극적이고 쌍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부랴부랴 물색하고 있다. 신용평가사들이 경쟁적으로 커뮤니케이션 창구를 다양화하면서 이름하여 '소통 경쟁'이 불붙고 있는 모양새다.
29일 증권업계의 말에 따르면 우리나라신용평가는 며칠전 대외 활동 전략을 전면 개편했다. 일단 온/오프라인 동영상 채널 중 유튜브를 기초로 두 대담형 팟캐스트를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시장의 호기심이 모여드는 굵직한 신용 이슈 관련 우리나라신용평가의 입장과 견해를 즉각적으로 알리기 위해서다.
또 시장 참가자들이 계속해서 제기하는 다양한 의문에 대해 보고서 모습로 우리나라신용평가의 의견을 하달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이용자들이 홈페이지에서 본인이 질문을 제출할 수 있도록 시스템까지 새로 구축했다. 아울러 홈페이지 내 검색 옵션을 추가해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높이는 작업도 진행했다.
우리나라신용평가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온,오프라인 콘퍼런스 횟수를 늘리고 다시 보기 기능을 추가하는 등 시장과 가까이 소통하고 콘텐츠의 가독성과 전달성을 높이려는 시도를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국민 메신저'로 불리는 카카오톡을 적극 활용해 시장과 접점을 뿌리고 있다. 연령대스신용평가는 해외 신용평가사 중에서 가장 최선으로 법인파산절차 카카오톡을 이용해 기업들의 신용등급 변동 내역 등을 알려주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연령대스신용평가가 통과한 이용자에게는 수많은 신용 이슈 관련 정보나 요약된 보고서 등을 제공하고 있다. 스스로의으로 이 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만 2000여명에 달하고 있다. 연령대스신용평가 직원은 '간단히 신용등급 조정 내역만이 아니라 조정 환경과 요지를 두 눈에 알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다'며 '자산운용사나 증권사 임직원 등 시장 참가자들의 반응이 좋아 운영 금액이 많아지고 있지만 서비스를 확대하려고 한다'고 전했다.
증권사 관계자는 'B2B(기업 간 거래) 성격의 신용평가사들은 태생적으로 개방적인 성격이 강하다'면서도 '최근 유튜브나 블로그 등을 활용한 개인 전공가들의 영향력이 넓은 범위하게 커지면서 본인 혼자서 전공성을 알릴 필요가 있다는 내부적인 음성이 높아지고 있는 듯 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