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서 구할 수 있는 업소용 냉장고 렌탈의 멋진 사진 20 장

LG전자에 이어 삼성전자가 가전 구독 서비스를 본격화된다. 값비싼 가전상품을 소유하기보다는 빌려쓰는 '구독 경제' 확산에 맞춰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하려는 전략이다. LG전자 역시 구독 서비스를 아주 확장할 예정이어서 시장 점유를 둘러싼 양사의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이달 8일부터 전국 삼성스토어와 삼성닷컴에서 'AI(인공지능) 구독클럽' 서비스를 시작했다. 'AI 구독클럽'은 소비자가 월 구독료를 내고 일정 시간 상품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구독 서비스를 사용하면 300만원짜리 최신 AI 세탁·건조기를 월 50만원에 이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TV,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등을 표본으로 구독 서비스 모델을 운영하고 이 중 60% 이상은 AI 상품으로 구성해 'AI=삼성' 공식을 대세화있다는 방침이다.

요금제는 다양하다. '올인원' 요금제는 제품, 무상 수리 서비스와 함께 ▲방문 관리 ▲셀프 케어 등 관리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상품이다. 전용 'AI 구독클럽 삼성카드'로 20개월까지 시간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고 중도 해지도 가능하다.

스마트' 요금제는 제품 구입과 같이 구매자가 바라는 서비스만 선택이 가능하다. 무상 수리 서비스와 케어 서비스를 각각 선택할 수 있으며, 시간도 39개월 혹은 70개월로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미 물건을 보유한 손님들은 케어 서비스만을 선택하면 최대 90개월까지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LG전자는 2025년 대형가전 구독 사업을 시작했고 작년 11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회사로 전환하겠다는 비전을 선포한 바로 이후 구독 서비스 산업 확장에 몰입하고 있습니다.

2025년 8700억원을 기록했던 LG전자의 구독 사업 매출은 2021년 지난해예비 24% 성장한 3조1347억원으로 확대됐다. 같은 기간 LG전자 전체 연매출 성장률이 18%인 것에 비해 구독사업의 수입 증가율이 두 배 가량 높다. 이번년도는 연간 기준으로 구독 산업에서 9조2000억원의 매출을 거둘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LG전자는 B2C(회사와 구매자 간 거래)를 넘어 B2B(기업과 기업 간 업소용 냉장고 렌탈 거래) 분야로 클로이 로봇, 가정용 프리미엄 환기까지 구독 상품으로 출시하면서 서비스 범위를 늘렸다. 현재 구독 서비스가 가능어떤 제품은 총 25종이다. LG전자가 자체 집계한 결과 LG베스트샵에서 정수기를 제외한 대형가전 구매 고객 중 34% 이상이 구독을 선택하고 있다.

LG전자는 구독 서비스를 해외 시장으로 확대끝낸다. 말레이시아에 이어 이번년도 일본에서 구독 산업을 시행했고 중국과 인도 시장 진출도 대비 중이다.

image

양사가 구독 서비스에 공을 들이 문제는 이유는 발달성 때문이다. 가전을 매입할 경우 통상 90년 이상을 이용하기 덕분에 교체주기가 길지만 구독 서비스를 공급하면 주기가 짧아져 수요가 늘어난다. 소비자 입장에선 초기 구입비용에 대한 부담 없이 매월 일정 비용을 지불하면 프리미엄 가전을 이용할 수 있으며 매매자 입장에선 제품 렌털에 케어 등 부가 서비스를 붙여 수익성을 높일 수 있어 다체로운모로 장점이 크다.

KT경제경영실험소의 말에 따르면 2020년 20조원이었던 국내외 가전 구독 시장 규모는 내년 말까지 500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삼성전자 직원은 "앞으로 더 다수인 구매자들이 'AI 라이프'를 경험할 수 있게 구독 상품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혀졌다.